독후감(5)
-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호르몬과 관련한 강렬한 기억이 있다. 할머니가 감기약을 드셨는 데 그 날따라 지금이 새벽인 지 밤인지 구분하지 못하시고, 자기 방을 제대로 찾아가지 못하셨다. 다행히 치매는 아니였고, 감기약을 드시지 않으니 정상으로 돌아오셨다. 알고보니 감기약은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막는다고 한다. 그래서 인지기능에 좀 문제가 있으셨던거였다. 20대인 나는 건강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두드러진 변화는 느끼지 못하나, 하루의 컨디션정도는 어떤 잘못된 행동, 생각때문에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안 좋아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책을 읽어보니 나의 안좋은 행동, 생각을 발견했고, 좋은 행동, 생각은 받아들였다. 도파민 도파민은 동기부여의 원천이 되는 호르몬이다. 원하던 목표를 이루었을 때 도파민이 분비돼 ..
2022.12.11 -
[독후감] 몰입영어 - 황논문
이 책을 읽고 영어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는 지 알게되었습니다. 영어공부를 어떻게 해야하는 지 궁금하신 분들께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황논문 교수님께서 [몰입영어]에서 추천하시는 영어공부법을 소개하고 제가 어떻게 영어공부를 진행하고 있는 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왜 영어를 공부해야하는가? 영어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던져야 하는 질문이다. 모든 분야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습을 지속해야하고 지속하기 위해서는 강렬한 목표가 있어야 한다.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자. 내가 내린 이유는 2가지이다. 1. 최고에게 배우기 위해 2022년 말에 동역학을 복습했다. 혼자서 책을 보면서 복습하다가 KAIST에서 제공하는 동역학 강의를 알게되었다. 그리고 강체동역학을 수강해서 공부를 했는데..
2022.11.02 -
1만 시간의 재발견
이 책은 재능이라는 허상에 부딪혀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뇌과학이 발달하기 전에는 뇌를 컴퓨터에 비유했다. 컴퓨터에는 램, CPU, 기억장치의 용량등이 정해져있다. 뇌도 똑같았다고 생각했다. 연습을 하는 것은 단순히 정해져있는 성능(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지만, 뇌과학이 발달한 지금 이 사실은 터무니없는 것이다. 뇌과학에서 연습을 하면 뇌는 그 능력을 만든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하지만 그냥하는 연습은 안된다. 똑같은 것을 반복해서는 실력이 늘지않는다. 오히려 퇴화한다. 그럼 어떻게 연습해야하는가? 이에 대한 답을 주는 책이 1만시간의 재발견이다. 이 책의 요점은 누구나 1만 시간동안 한 분야에 의식적인 연습을 하면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이..
2022.11.01 -
슈독(나이키 창업자 필 나이트 자서전)
특히 나 자신이 가장 변하지 않았다. 그런데도 내 수중에 1억 7800만 달러가 들어올 것이다. 샤워를 하고 아침을 먹고 차를 몰고 일터로 갔다. 나는 어느 누구보다도 일찍 출근했다.(p.513) 의사가 나와 또 아들이라고 했다. 나는 속으로 아들 두 명, 아들 한 켤레라고 생각했다.(p.338) 필 나이트씨가 얼마나 신발에 미쳐 살았는 지 자신의 일을 얼마나 사랑하는 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렇게 무언가에 미쳐있는 사람의 책을 읽으면 나도 무언가에 미치고 싶어진다. 의미있는 것에 미쳐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삶은 가치있는 삶이고, 나도 그런 삶을 살고싶다. "난 무언가에 미쳤던 적이 있나?"라고 생각해보았다. 나도 6족 보행로봇을 만들면서 오직 로봇을 어떻게 하면 잘 만들지, 지금 발생한 문제를 어떻..
2022.08.29 -
이 땅에 태어나서 나의 살아온 이야기 - 정주영 회장님
성공한 분의 책을 읽는 이유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성공한 분이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그것들을 어떻게 이겨냈는 지 앎으로써 나의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아직 인생의 레벨이 낮은 나에게는 사소한 어려움들이 크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정주영 회장님의 어려움을 알고나서 나의 어려움들은 충분히 극복가능한 것임을 확신했다. 두 번째, 노력의 기준을 내 멋대로 설정하기 않기 위해서이다. 노력에는 각자의 기준이 있다. 친구가 어떤 노력을 했다고 하는 데 내 기준에서는 노력한 것 같지 않은 경우가 있지 않은가? 이 노력의 기준이 정말 무섭다. 자기는 노력했다고 생각했는 데, 성과를 내지 못했을 때 좌절감을 느끼게 된다. 사실 이는 진정한 노력을 하지 않아서 일 수 있다. 따라서, 성공한..
2022.07.26